자료 수집

미국이 보관 중인 조선시대 사진

차보살 다림화 2011. 12. 16. 22:20


  •  


     

     

    -- Welcome to Chosun Era --

    美國이 보관중인 朝鮮時代 寫眞

      
    1880년대 당시의 남대문문
    1880년대의 남대문 중앙로
    조선시대의 길거리를 가운데 두고  늘어선 초가집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Namdaemun"(Great South Gate in Seoul) Date: 1904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Willard Dickerman Straight



    1931년 박흥식(朴興植)이 서울 종로(鍾路)

    2가에 세운 "화신 백화점"
    당시 한국의 랜드마크적인 존재로 일세를 풍미했다.

    화신백화점은 1987년에 문을 닫았고
    1988년 재개발 사업으로 철거되어
    1999년 그 자리에는 미국 건축가 설계로

     "삼성 종로타워"가 들어섰다.



    1935년 서울 남대문
    왼족의 상업은행과 오른쪽 중앙 "레토크림"

    (レ-トクレ-ム) 화장품 세로 광고탑
    오른쪽 "기린맥주"(キリンビ-ル) 가로 광고



    평양에서 영업중인 왕복 노면전차  -운임 5전-



    1942년 흥남공업 도시
    조선 질소비료공장 . 일본 마그네슘 . 조선광업 등



    수풍 댐 수력 발전소
    일제 강점기인 1937년에 만주국과 조선의

    전력확보를 위해 건설이 개시되었다.
    건설된 것은 압록강하류의 평안북도 신의주로

    부터 80 km지점의 한만국경(현재는 중.북 국경).

    담수면적은 일본 비와코의 거의 반에 상당해

    총공비는 약 5억엔이다.
    (이 금액은 동경에서 시모노세끼를 잇는

    신칸센 건설 규모에 필적하는 금액이었다)

    그 비용은 당시 한반도에서도 일대 중화학

    기업인 조선질소비료 (현재의 질소/日チッソ-칫소)

    가 부담했다.
    태평양전쟁이 한참인 1944년 3월에 수풍수력

     발전소(발전 능력 60만 kW)와 함께 준공했다.

    이 발전 규모는 당시의 세계 최대급이며
    1940년 당시의 일본내의 수력 발전 규모가

    280만 kW와 비교해도 그 크기는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7기의 발전기는 각각 약 10만 kW의 발전

     능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것은 당시 세계 최대급의 능력이며
    설비제조를 수주한 회사는 동경시바우라

     전기(현재의 토시바)에서 제조를 맡았으며
    시공업자는 일본 하자마구미와 니시마쯔

    건설(間組, 西松建設)이 했다.

    Hazama Corporation and Nishimatsu Construction Co., Ltd.



    한국전쟁 당시인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이 침공하여 총 7기의 발전기중

    5기를 약탈해 갔다.

    약탈된 발전기는 카자흐스탄 공화국,

    이리티슈 카와카미류의

     댐에서 확인되었다.

    한국 전쟁중에 뇌격을 포함한
    미군기의 공격을 받았지만 댐 구조가 워낙

     견고했었기 때문에 파괴를 면했다.

    전후에 북한은
    발전 능력을 증강해 이 댐 덕에 부흥했다.

    준공으로부터 60년 이상 경과한 현재도
    댐 본체는 큰 개수 공사를 하지 않고

    현역으로 활동 중에 있다.

    사족(蛇足) :
    북한의 국장에는 이 댐을 디자인한

    도안으로 되어 있으며
    또 2009년 북한 중안은행발행 5원권 지폐

    뒷면에 수풍댐의 사진이 그려져 있다.



    1940년 당시 조선을 대표하는 호텔 "조선호텔"

     선룸무도가 崔承喜의 모습



    당시 번화가 명동의 모습
    오른쪽 모자쓴 남성뒤로 "빅터 SP 레코드

    ""(Victor) 세로 간판이 보인다.
    그리고 간판 위쪽에는 레코드 판 광고판이

    걸려 있다.


    < 누가 고종황제를 죽였는가? >






    대한제국 황궁인 덕수궁 석조전에서 촬영한

    황실가족 사진.
    왼쪽부터 영친왕, 순종, 고종황제, 순정효황후, 덕혜옹주




    라스트 프린세스 덕혜옹주(1912∼1989)



    1897년10월12일 고종의 황제 즉위를 축하하는

     덕수궁 대한문(대안문) 앞은 
    백성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고종황제의 장례행렬 
    1919년 1월21일 덕수궁 함녕전에서

    고종황제가 승하했다.
    갑작스런 그의 죽음을 둘러싼 독살설은

    전국으로 퍼져 3.1운동의 기폭제가 된다.

    KBS 1TV '역사스페셜'은 15일 오후 8시

    광복절 특집 '고종황제,
    그 죽음의 진실'을 통해 고종황제 독살설의

    진실을 파헤친다.

    최근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에 의해

    고종 독살에 관한 새로운 자료가 제시되었다.
    그가 찾은 것은 당시 일본 궁내성 관리

    구라토미의 일기.
    거기에는 고종황제의 죽음이 일본의

    지시에 의한 독살이었음을 암시하는

    중요한 내용이 담겨 있다.

    기록에 의하면 고종의 시신 상태는 처참했다.
    팔다리가 심하게 부어올라 바지를 찢어야만 했고,
    이가 빠져 있고 혀가 닳아져 있었다.
    또한, 30㎝가량의 검은 줄이 목에서 복부까지

    나 있었다.

    제작진은 "고종이 마지막으로 먹은 음식은

    식혜로 알려져 왔는데,
    고종은 정말 식혜를 마시고 죽은 것일까"

    라며 "현대 법의학을 통해
    고종황제의 구체적 사인을 추적한다"고 밝혔다.

    1919년은 한일강제병합이 일어난 지 10년 뒤이고,
    고종도 이미 퇴위한 상태였다.
    그럼에도 고종 독살설이 강력하게 떠오른 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구라토미의 일기는 일본이 고종황제가

    해외에 독립을 호소하려는 것을
    미리 알고 막으려다 여의치 않자 독살을

    감행하였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고종은 이회영을 통해 중국으로

    망명할 계획을 진행하고 있었다.

     
    1919년 19살의 영친왕비 이방자(1901~1989)

     여사와 진왕자가 탄생했을 때의 영친왕 부부.



    덕수궁 석조전에서 영친왕(가운데)의 모습



    영친왕비 이방자(1901~1989) 여사의 일본친정

    가족 사진
    Archive :
    한일 친선에 생애를 바친 일본

    황족 출신 이방자(李方子) 여사


     
     


    -- 대담했던 한국 아낙네들 -

    톱레스 치마 저고리









    문명사회에 있으면서도 세계에서 가장 원시적

    이었던 조선시대 아낙네들의 대담한 모습









    !

         


















    러일전쟁 무럽 프랑스 신문에 실린 한국 여성의

     "젖가슴 드러낸 치마 저고리" 풍자화

    본문 일본어 내용
     - 조선을 둘러 싼 러일간의 대립 -
    "조선중립"(조선 여성의 손을 주목)이라고 쓰인,
    이미 깨져버려 못 쓰게 된 단지를 든 조선에

    위로 말을 붙이는 일본.
      "그러나 가엾다. 만약 내가 침략해 오지 않았

    더라면, 대신 침략한 것은 저 털보

    소련놈들이었을 테니...!"   








    18세기 이후
    조선 여성의 민족의상 "치마 저고리"에

     변화가 생겼다.

    이 무렵부터
    "장남을 낳은 여성은 젖가슴을 노출한다."라는
    이상한 습관이 생기게 되었다.

    아직 남존여비의 사상이 뿌리깊은
    이 시대에 "장남을 낳지 못하면 여성의

    가치가 없다."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또 이 의상은 여성에게 있어서 "남아를

    출산하여 사회적인 책임을 다했다."라는

    상징적인 자랑이기도 했다. 

    그리고 이 습관은
    일본 순사에게 뺨까지 맞아 가면서도

    굳건히 지켜지다가 제2차 세계대전이

    종료한 뒤인 1950년대까지도 이어졌었다.

    아래의 사진은 프랑스 판화 화가

    Paul Jacoulet(1896-1960)의 작품

    그녀는 3살 때에 부모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한국, 중국, 폴리네시아 등지를

     여행하며 생애를 일본에서 보내며
    많은 작품을 남겼다.





    - 톱레스 치마 저고리 -   서민의 기묘한 습속

    인물화를 섬세한 선과 파스칼 컬러로

    여성답게 표현했다


    - 시골의 결혼 피로연과 톱레스 치마

    저고리 아낙네들의 분주한 움직임 - 1921년




    - 아침의 잡담 - 1921년




    - 톱레스 치마 저고리 -    조선 서민의 기묘한 습속

    당시 조선시대의
    "톱레스 치마 저고리"는 1911년 한일합방이

     되고서도 이런 풍습은 남아 있었다.

    일본 통치하에서는 풍속문란이라고

    하여 일본 순사로부터 길거리에서 뺨 맞아

    가면서도
    그렇게 쉽사리 없어질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바티칸 교황청 한국 대사관에  기증된

    "한국판 마리아 상"

    2005년 바티칸의 교황청 주재 한국대사관에

     안치된 한국형 성모마리아상.

    성염 주 교황청 한국대사의 의뢰로
    돌조각가 오채현씨가 약 10개월간 걸쳐

    만든 약 2m 높이의 이 작품은
    한복을 입은 한국의 평범한 어머니가

    등에 발가벗은 아기 예수를 업고
    머리에는 물동이를 지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물동이는 천주교회에서 쓰이는

    성수(聖水)를 나타낸다.

    역시 압권이라면 성모 마리아가 가슴을

    전부 대담히 드러낸 모습이 한국적이다.



    당시 양반계급의 여성이 외출 때의 모습


    장날

    노점상, 비녀를 비롯하여 면빗, 얼레빗, 참빗들이



    엿장수 소년이 커다란 엿목판을 걸치고 있다.



    꽈배기 장수의 청년과 소년



    경복궁의 서문인 영추문의 붕괴사고 장면 
    원인은 영추문 바로 옆을 종점으로 하여 운행된

     전차의 진동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독뚜껑위에 자배기를 지게에 교묘하게

    올려놓았다. 이 당시에는 자배기와

    독뚜껑은 특히 여인들이 잘 깨뜨리는 그릇이었다.



    닭을 어리에 넣고 짊어지고 팔러 다니는 닭장수



    연당의 여인



    쌍검대무


    단오풍경



    신윤복의 미인도



    옹기그릇 시장



    연소답청



    청금상령



    주사거배



    월하정인



    월하밀회



     누룩과 찰밥으로 지은 지에밥(술밥)을

    햇볕에 펼쳐 놓고 말리고 있다.



    복덕방 할아버지들



    한강 용산 나룻터



    참숫 팔러 가기



    1900년 무렵의 조선 호랑이 사냥군들



    여성들이 외출때에 쓰는 파라솔, 양산 대용



    평양의 장터 길



    일본의 조선 철도 기공식
    당시 신작로가 전부였던 조선에 일본인들에 의해
    조선반도 곳곳에는 급속히 철도가 부설되기 시작했다.

    전체적으로는 그 길이는 총영장 5,000km에 이르렀다.

    이때문에
    "일본은 한국 식민지 정책에서 남은 것이 없다"고
    하? ?이유이기도 하다. 



    천하 대장군과 천하 여장군



    기생의 나들이



    서당의 학생들



    쌀 티고르기



    장터로 가는 길 



    결혼하는 날



    소시장



    멧돌로 콩을 갈고 있는 남성



    쌀 찢고 있는 남성들



    삽?墟歐?



    양반들의 장기두기, 한 팔이 넘는 긴 담뱃대에 주목.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merican Electric Trolley, 1903
    남대문으로 노면전차가 지나고 있다.



    남대문 앞으로 일본군이 지나고 있다. 1903



    괭가리, 징, 놋그릇, 갓, 촛대 등등...



    당시의 광화문 정문





    북쩍 거리는 장터



    한약방
















    조선시대의 곤장



    전당포







    주유 청강



    바구니 장수



    당시 마포나루터의 풍경 
    네덜란드인 얀 아드리아니씨가 1904년

    평양 시내를 촬영 모습



    개천에서 아낙네들이 빨래하는 모습
    아직 눈이 남아 있는 계절이다.





    멀리 언덕 위 높은 곳에는 서양식 건물이 눈에 띈다.
    이 3장의 사진은 암스테르담 국립박물관 소장품

    -- The Flag of the Commander in Chief of the Korean Forces --
    By Felice A. Beato

    (미해군 사관학교 박물관 소장 사진)




    신미양요(辛未洋擾)에서 전사한 어재연

    장군의 장군기(帥字旗)가
    미해군 콜로라도함(USS Colorado,

    배수량 3,425 톤) 갑판에 걸려있다.

    어재연 장군기는 136년이 지난

    2007년10월에 한국에 10년 동안 임대되는

    형식으로 돌아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사족(蛇足) : 신미양요(辛未洋擾, 1871년

    6월 10일, 고종 8년 음력 4월 23일에

    발생)란, 쇄국정책을 펼쳤던 구한말

    흥선대원군 당시 발생한 조선과 미국간의

     전쟁이다.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1865년 조선에 통상을 요구하며 입항

    하려다 이를 침략행위로 간주한 조선

    군민에 의해 저지되고 이 결과 셔먼호가

     소각되고 선원 전원이 처형되자 미국은

     이를 빌미로 배상과 통상을 요구하며

    1871년 아시아 함대 5척을 동원해 조선

     원정에 나섰다.  이것이 바로 신미양요다.

      이 결과 조선군민 250여명이 죽거나

    크게 다쳤다.  비록 조선은 이 전쟁에서

    우세한 미군에 패했지만 미국 역시

    조선의 끈질긴 저항으로 인해 조선과의

    통상이라는 원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40여일만에 중국으로 철수하고 말았다.  

    이후 조선은 더욱 더 쇄국의 길로 접어

    들게 되며 서양인에 대한 조선인들의

    거부감 역시 더 한층 깊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신미양요때 전사한 조선군사들 모습
    이틀간에 걸친공격에서 5개의 조선궁

    요새가 점령당하거나 파괴되고
    조선군은 700여명 가운데 250명이 전사

    미군은 3명이 전사했다고 한다.



    1971
    년 이탈리아 베니스 출생 영국 사진작가
    펠리체 베아토(Felice Beato, 1832-1909)씨가

    촬영한 한국의 선박(Junk, 猛船)

    맹선(Junk, 猛船)
    조선시대에 실제로 전투에 사용된 선박으로
    대.중.소맹선의 세종류가 있다.
    Masters of Photography - Felice Beato
    Samurai Photographs of the Nineteenth Century



    호랑이 사냥꾼으로 불렸던 조선군들은
    적에 잡히느니 죽음을 선택했기 때문에

    미군에 의해 잡힌 조선군 포로는 20명도

    채 되지 않았다.

    부상당했음에도 불구하고 포로로 잡힌

    사진의 조선군 2명은
    자신들을 촬영하려하자 이에 완강히

    저항하고 있다.



    조선 침공에 나선 콜로라도함내
    미군 고위장교들이 조선지도 앞에서 작전

    계획을 짜고 있다.





    미해군측과 협상에 나선 조선 관리들의 모습이다.



    1871년 갓을 쓰고 흰 도포를 입은 우리측

    문정관(問情官)이 포로협상단 대표가

    미해군 군함에 승선 해
    포로송환 협상을 위해 조선 포로들의 얘기를

    듣고 있다.



    1871년 덕진진에 진입에 성공해 환희하는

    미해군. 초지진에서 1박 야영을 한

    미군들은 6월11일 이른 아침부터 덕진진으로

    쇄도해 들어왔다.
    옛 조선시대(1920년대 전)의 의술



    눈병 치료 그림을 그리고 눈병이 있는



일부 이미지 또는 태그를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표시하기|

원문다운로드 상세설명

일부 이미지 또는 태그를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표시하기|

원문다운로드 상세설명

'자료 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선 화가 조희룡, 매화에 미치고 그림에 미치다  (0) 2011.12.25
운남성  (0) 2011.12.16
포토에세이  (0) 2011.09.26
산삼에 버금하는 무우  (0) 2011.08.26
노래방  (0) 201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