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다산의 걸명(乞茗) 시문 다산의 걸명(乞茗) 시문 다산은 명실 공히 우리 차 문화의 중흥조다. 그는 아득히 잊혀져 사라진 우리 차문화에 새 빛을 던졌다. 혜장과 초의의 제다법 또한 다산에게서 나왔다. 그렇다면 다산은 언제부터, 왜 차를 마셨을까? 이 글에서는 다산이 혜장에게 차를 청하며 보낸 걸명(乞茗) 시.. 차 이야기 2014.07.03
[스크랩] 다수장(茶守將)이란 ? 다수장(茶守將)이란 중국 說話에 등장하는 인물로 西漢 209년의 왕용 대인으로 長長 120수를 그 일대기로 이승을 마감하였다 하고, 외아들 鎭은 백수를 다한 孝子중의 孝子로 당나라 시대에 널리 알려진 人物이기도 하다. 그 說話의 내용을 살펴보면 어느날 진의 부친 왕용 옹이 不治의 病.. 차 이야기 2014.04.16
[스크랩] 차와 불 (역대 음차 방법) / 중국차문화사 17.18.19. . 중국차문화사 차와 불 (역대 음차 방법) 차와 물, 불의 삼합이 차탕의 품음 이뤄내 ▲ 역대 조원 육우팽다도 한 잔의 좋은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반드시 차와 물과 불이 삼위일체를 이루어야 하며 이 중 어느 것 하나라도 결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3대요소이다. 따라서, 좋은 차를 마시기.. 차 이야기 2014.02.13
[스크랩] 산천(山泉) 김명희(金命喜)의 「다법수칙(茶法數則)」 산천(山泉) 김명희(金命喜)의 「다법수칙(茶法數則)」 지난 호에 추사와 대둔사 승려 향훈(香薰)과의 차에 얽힌 교유를 살폈다. 최근 필자는 추사의 동생 산천(山泉) 김명희(金命喜, 1788-1857)가 역시 향훈에게 보낸 친필인 「다법수칙(茶法數則)」을 구해보았다. 향훈에게 채다(采茶)와 제.. 차 이야기 2013.02.15
추사와 다선(茶禪) 향훈(向薰) 추사와 다선(茶禪) 향훈(向薰) 추사가 초의 외에도 만휴(卍休) 자흔(自欣, 1804-1875), 취현(醉玄) 향훈(向薰), 그리고 쌍계사의 관화(寬華)와 만허(晩虛) 스님 등에게서 차를 구해 마셨던 일은 앞서도 살펴보았다. 이 중 취현 향훈은 초의의 제자 항렬 스님이다. 완호(玩虎) 윤우(倫佑, 1758-1826).. 차 이야기 2013.02.13
조선의 다완 조선의 다완 ※ 이 자료는 클레이팍 개편전의 자료에 사진을 보충보완한 것입니다. 일본에서 만들어진 명칭들이기 때문에 일본식 음독을 달았습니다. 언젠가는 우리식 이름이 지어질 것을 기대하면서... 몇 글자가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첨부파일을 참조하십시오 조선의 .. 차 이야기 2013.01.15
차꽃과 음악 - 그냥바람 날씨가 추운날이 많네요 이곳도 다른해 보다 많이 춥답니다 건강은 여전하신지요 생각해 보니 소식 전한지 꽤 오래되었습니다 가끔 어찌 지내시는지 궁금해 하면서도 게으름이 많다 보니 ... 저는 여전히 텃밭을 가꾸지요 요즘은 겨울이라 한가하게 보낸답니다 가끔은 전주가 그립다고 .. 차 이야기 2013.01.01
[스크랩] 乙丑冬 貽兒菴禪子乞茗疏 을축년(1805)겨울 아암선자에게 준 걸명소. 乙丑冬 貽兒菴禪子乞茗疏 을축년(1805)겨울 아암선자에게 준 걸명소. <다산 정약용 선생의 영정> 乞茗疏 乞茗疏 乙丑冬(1805년) 贈兒菴禪師. - 茶山 丁若鏞 旅人近作茶&#39253; 書中妙&#36767; 全通陸羽之三篇 兼充藥餌 病裡雄蠶 遂竭盧仝之七椀 雖浸精瘠氣 不忘&#26826;毋&#15841;.. 차 이야기 2012.12.23